반도체·의약품 관세 도입… 한국의 전략은?
지난 8월 7일,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반도체에 100% 관세 부과를 공식 예고했습니다. 다만 미국 내 생산 기반에 투자한 기업은 예외로 하는 조건을 함께 내걸었죠. 이로 인해 반도체 업계에서는 큰 파장이 예상됩니다. 특히 TSMC, 삼성전자, SK하이닉스 등 미국 내 팹을 보유한 기업들은 관세 면제 대상에 해당하며, 실제로 이들 기업의 주가는 발표 직후 급등했습니다.
요약 : 신속한 대응과 협상력이 관건
- 관세율이 높더라도 예외 조치 활용이 가능
- 미국 내 생산 기반이 있는 기업은 관세 면제 가능
- 한국 정부 역시 15% 수준의 관세 조건 확보에 유리한 위치
- 수출 기업, 미국 생산 투자 또는 무역 다변화 고려 필요
- 제약 분야는 약값 상승 가능성, 소비자 부담 대비 필요
- FTA 및 경제외교 활용해 관세 리스크 최소화 전략 필요
한국, 협상 통해 15% 관세 유리 조건 확보
한국 정부는 이번 관세 전략에서 **최혜국 대우(MFN)**를 바탕으로 15% 관세율 적용을 이끌어낼 가능성이 큰 상황입니다. 유럽연합 또한 이런 수준의 관세율을 인정 받았기 때문에 한국도 유사한 방안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Financial TimesThe Washington Post.
그러나 수출 비중이 높은 반도체 업계 특성상, 설령 관세율이 15%로 제한되더라도 수출가격 경쟁력 및 수익성에는 여전히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.

관세 공표 여파—결국 주식시장은 ‘휘청’
소식을 접한 당일, 한국 주식시장에서는 반도체와 제약 업종 종목 모두 하락했습니다.
삼성전자(-1.43%), SK하이닉스(-1.71%), DB하이텍(-2.07%), 삼성바이오로직스(-2.18%), 대웅제약(-2.57%) 등 주요 기업이 낙폭을 기록했죠.
이는 관세 리스크가 단순히 미국 내 소비자뿐만 아니라, 한국 수출 기업의 수익성 전반을 흔들 수 있다는 경고로도 해석됩니다.
의약품 관세… 가격 인상 우려 고개
의약품 분야 역시 트럼프 대통령은 **250%**까지 관세 수준을 끌어올릴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. 제약사들이 이를 감안해 미국 내 생산 확대 계획을 밝히고 있지만, 실행까지 시일이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.
소비자 입장에서는 약값 인상 우려가 현실화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. 한국 제약사들도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만큼, 이러한 리스크를 예의주시해야 합니다.

한국의 대응 전략—기술 투자와 시장 보전
한국은 이미 삼성과 SK하이닉스 등이 미국 내 반도체 생산 설비 확대 계획을 발표한 상태입니다. 이는 관세 면제 조건을 충족하려는 전략적 대응입니다.
또한, 한국 정부는 KORUS FTA 기반 협상을 통해 주요 수출품에 대한 관세 부담 최소화를 모색 중입니다en.wikipedia.org.
